아파트 세금 이해하기 (취득세, 양도소득세, 지방세)
- 부동산공부
- 2021. 6. 16.
아파트 분양권 내야 하는 세금은? (취득세, 양도소득세, 지방세)
분양권 관련 세금은 양도소득세+지방세, 취득세
분양권은 등기가 발행되기 전 권리이므로 주택으로 인정되지 않아 주택소유와 관련된 보유세나 종합부동산세의 과세대상은 아님
1. 취득세
취득세는 6억과 9억 원 기준, 전용면적 85㎡ 기준으로 세율이 변경된다.
취득세율표
취득세 납부시기
취득일은 잔금을 내는 날짜를 기준으로 하며 취득세는 잔금을 치른 후 60일 이내에 납부해야 한다. 이 기간 내에 취득세를 납부하지 않으면 20%의 가산세를 내야 하며 매일 0.03%의 지연가산세도 부과되니 주의하도록 하자.
2. 양도소득세
양도소득세는 수익이 발생한 매도자에게 부과되는 세금으로 지역과 보유기간, 양도차액에 따라 세율이 달라진다. 또한 양도소득세를 낼 때는 양도소득세의 10%만큼 지방세가 추가된다.
분양권 양도소득세 vs 일반주택 양도소득세
양도소득세는 분양권 상태에서 이를 전매할 때 생기는 분양권 양도소득세와 아파트 완공 이후 잔금을 낸 이후에 매도할 때 생기는 일반주택 양도소득세가 다르므로 주의하도록 하자.
투기과열지구 및 조정대상지역은 보유기간 상관없이 50%가 부과되며 보유 기간이 2년이 지난 경우에는 비조정지역대상 세율이 적용된다.
- 분양권 보유 1년 이내 매매하면 50%가 부과된다.
- 분양권을 2년 이상 보유하는 경우 6~42% 초과누진세율이 적용된다.
이 경우 과세표준 구간별로 세율이 다르다.
과세표준이란?
= 양도차익 - 기본공제액 - 중개수수료
양도차익 1억 발생 시, 과세표준도 계산상 편의를 위해 1억 원이라고 가정해보면
납부해야 하는 양도소득세는 2010만원 (1억원 x 35% - 1490만원)
지방세 10% 추가되면 2211만원 (2010만원 x 1.1)가 부과된다.
양도소득세까지 신고/납부하면 분양권 거래는 완료되다. 양도소득세는 다른 매매건과 합산과세되므로 한해 2건 이상의 매도를 하는 경우 세무전문가와 상담하는 것을 추천한다.
'부동산공부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부평 제이타워 3차 지식산업센터 장점은? (0) | 2021.06.20 |
---|---|
아파트 모델하우스 효율적으로 관람하는 법 (0) | 2021.06.16 |
아파트 주택청약 가점 계산하는 법 (무주택기간, 부양가족, 청약통장 가입기간) (0) | 2021.06.16 |
주택청약 신청방법 자금 계획 세우기 (계약금, 중도금, 잔금) (0) | 2021.06.16 |
가점이 낮아도 아파트 청약 방법과 일정을 알아야 하는 이유 (0) | 2021.06.16 |